[대학생 공모전]
안녕하세요.
어제에 이어서 대학생 분들을 위한 공모전 정보를 갖고 왔습니다.
오늘 소개드릴 공모전은 '수주문학상', '재난안전 대학(원)생 논문공모전', '전 국민 잡지 읽기 공모전'입니다.
1. 수주문학상
이 공모전은 부천시에서 주최하는 공모전입니다.
수주 변영로 시인의 올곧은 시 정신과 문학성을 계승하기 위하여 공모합니다.
<공모 분야 및 접수 방법>
공모 부문은 장시를 제외한 시입니다.
제출하는 작품의 수는 5편입니다.
응모 자격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단, 수주문학상 기 입상자는 제외합니다.
접수 기간은 8월 1일부터 8월 20일 까지입니다.
작품 접수처는 우편번호 14727 경기도 부천시 경인로92번길 33 송내어울마당 한국예총부천지회 내 [수주문학상운영위원회]입니다.
응모 요령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응모 작품은 미발표된 창작물이어야 합니다.
(2) 원고에는 작품 제목 외에 이름이나 주소는 절대 기입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3) 표지는 원고 앞에 따로 붙여서 제출하십시오.
(4) 원고는 반드시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선작 발표>
시상식은 추후 통지할 예정입니다.
심사 발표는 당선자에게 개별통지하고 9월 11일 부천예총 홈페이지에서 발표합니다.
당선작은 1명이고 상금 1,000만원 및 상패를 수여합니다.
문의 전화 번호는 032-715-4683 입니다.
2. 재난안전 대학(원)생 논문공모전
이 공모전은 국민안전처가 주최하며 한국방재학회에서 주관합니다.
<공모 분야 및 접수 방법>
대학생 및 대학원생 모두 응모 가능합니다.
공모 주제는 재난안전 전 분야입니다.
접수 기간은 8월 1일 부터 9월 30일 까지 두달입니다.
논문 접수는 한국방재학회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하시면 됩니다.
<당선작 발표>
1차 심사에서 통과한 작품은 한국방재학회 논문집에 수록될 예정입니다.
2차 심사애서 통과할 경우, 시상 내역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대상 (국민안전처 장관상) / 1명 / 상장과 장학금 300만원
최우수상 (국민안전처 장관상) / 2명 / 상장과 장학금 100만원
우수상 (한국방제학회장상) / 3명 / 상장과 장학금 50만원
장려상 (한국방제학회장상) / 6명 / 상장과 기념품
기타 자세한 내용은 한국방재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문의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국민안전처 (044-205-6221~2)
한국방재학회 (02-567-6311~2)
3. 전 국민 잡지읽기 공모전
이 공모전은 사단법인 한국잡지협회에서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주관합니다.
<공모 분야 및 접수 방법>
청소년부와 일반부 나누어 접수를 받습니다.
청소년부는 초, 중, 고등학생이 해당되고, 일반부는 대학생 및 일반인이 해당됩니다.
접수기간은 5월 8일부터 8월 31일까지입니다.
주제는 잡지와 관련된 자유주제면 됩니다.
형식은 사단법인 한국잡지협회 홈페이지에서 지정된 형식의 참가신청서 및 작품양식을 다운받아 사용하십니다.
분량은 청소년부는 규격형식의 2-3매 내외, 일반부는 규격형식의 3-5매 내외로 합니다.
글자크기는 12포인트, 줄 간격은 160%에 바탕체로 통일합니다.
한국잡지협회 수기공모 담당 이메일로 접수합니다.
<당선작 발표>
결과는 9월 29일 사단법인 한국잡지협회 홈페이지에 공지될 예정입니다.
시상은 10월 27일 잡지회관에서 진행됩니다.
오늘은 세 가지 공모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접수 기간 알아두시고 기간 내에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대학생활 > 공모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생 공모전] 내가 만난 참사람 에세이 공모전 / 제2회 구미시 올해의 책 전국 독후감 공모전 (0) | 2017.08.19 |
---|---|
[대학생 공모전] 제9회 목포문학상 / 제2회 국민참여재판 수기공모전 (0) | 2017.08.18 |
[대학생 공모전] 건설문학상 / 원광 김용 문학상 (0) | 2017.08.17 |
[대학생 공모전] 제25회 눈높이아동문학대전 / 제1회 세계실크로드대학연맹 문학제(WRICOS) (0) | 2017.08.16 |
[대학생 공모전] 2017 가람청년시문학상 최명희청년소설문학상 / 전국 향토문화 공모전 (0) | 2017.08.14 |